티스토리 뷰

서버란 무엇인가?


  • 서버란 그대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우리가 처음 개발을 배울 톰캣(Tomcat) 설치하고 가지 설정을 주면 PC 서버가 있음 

-> 정확히 말하면 이건 Web Server


Web Server HTTP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있도록 주는소프트웨어로서의 서버


그렇다면 우리가 말하는인프라에서의 서버는 어떤 것일까?

  • 하드웨어로서의 서버, -> Tomcat 설치해서 PC 서버역할을 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던 PC하드웨어로서의 서버역할을 하는


서버를 가장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ㄱㄹㅊㄹㅇㅌ

‘PC 구조는 동일하나 메모리, CPU, 디스크등을 많이 장착할 있어 훨씬 높은 성능과 뛰어난 안정성을 가진 장비

-> But 그만큼 비쌈


크게 세가지로 나뉨


1)메인프레임, 2)유닉스, 3) x86 서버



  1. 메인프레임


금융회사, 대기업, 연구실 등에서 많이 사용


개념 - 수많은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 장치를다수의 사람에게 동시에 지원 있는 컴퓨터


다수의 사람에게 동시에 지원 -> 핵심은 cpu 스케쥴링이 핵심!


장점 

신뢰성 -> 많은 써드파티, 완성도 높음. 가격은 비싸지만, ibm 써드파티의 솔루션까지 안정성을 검사함

안정성 -> cpu점유가 한계까지 올라간 상황에서도 성능이나 안정성 저하가 크게 일어나지 않음, 개발자들이 편함

유연성 -> 시스템을 수평적으로 계속해서 확장할 있음


A) 동시성 제어 기술 : 시스템


CF(Coupling Facility) -> 여러장비를 논리적으로 하나의 장비로 구성하는 기술, 2~32대까지 물리적으로 연결 가능, 이것도 한대의 메인프레임

CF 하는것, 첫번째는 연결된 시스템 간의 lock 정보 관리, 두번째는 개별 시스템 상호 간의 정합성 보장을 위한 캐시 관리, 번째는 데이터 목록 정보 관리


B) 동시성 제어 기술 : 정보 공유


파일 시스템을 공유할 때는 DASD라는 기술을 활용함(Direct Access Storage Device)

-> 같은 CF내의 다른 메인프레임 장비가 하나의 스토리지를 공유하기 위한 솔루션 IBM에서만 제공하기 때문에 솔루션이자 기법이라고 있음

별도의 하드웨어 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방식

서버 간에 캐시나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서버끼리의 직접 연결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노드의 상태를 파악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된 여러 대의 서버가 논리적으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인 것처럼 구성하는 , 


출처 / 개발자도 궁금한 IT 인프라


댓글